본문 바로가기
Spring/Spring Boot

Spring Boot / 프로젝트 생성하기

by LWM 2020. 7. 13.
반응형

스프링부트가 무엇인지 간략히 알아보았으니 이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툴은 STS를 사용하였다.

 

 

1. STS툴을 켜고 'Spring Starter Project' 클릭

 

 

2. 빨간 박스에 해당하는 부분들을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설정하고 'Next'

잠깐!

gradle, maven, yarn, npm, pip등은 라이브러리 관리도구 또는 버전관리 도구 또는 의존성 관리도구라고하며

자바코드 +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며 패킹을 할수 있다.

 

 

 

3. 빨간 박스는 프로젝트 생성과 동시에 설치하고자하는 라이브러리들을 선택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내가 필요로하는 라이브러리를 채택하고 'Next'

여기서 핵심이 되는 라이브러리는 많지만 그중에서도 2가지를 꼽자면 'Spring Boot DevTools'와 'Spring Web'이다.

간략히 설명하면 'Spring Boot DevTools'는 파일을 저장시 자동으로 컴파일 해주는 라이브러리 이며, 'Spring Web'은 컨트롤러를 생성가능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4. Base url과 Full url을 Default로 설정하고 'Finish' 클릭

 

 

5. 툴의 좌측 하단에 빨간박스는 프로젝트생성과 함께 라이브러리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Bar이며, 없어지면 설치가 완료 됬으므로 프로젝트 생성 끝! (설치 진행되고 있을 때 툴의 어떠한 것도 건드리지 않는 것을 권장)

 

 

잠깐!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면 디렉토리 구조가 보일것이다. 다소 많이 생소할텐데 어려움을 겪는 독자들을 위해 간략히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에 대해 짚어보자.

 

아래 이미지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의 기본 디렉토리 구조이다.

  • src/main/java : 자바파일을 담는다.
  • src/main/resources : 정적파일을 담는다.

    1) static

    css, javascript, img 등의 파일을 담는다.

    2) templates

    템플릿이 담기는 디렉토리이며, Spring에서 템플릿을 찾는 경로는 'viewresolver/src/main/resources/templates/파일명.확장자' 이다. 여기서 알고가야할 것은 prefix와 suffix개념인데, prefix는 'templates'까지의 경로를 말하고 suffix는 '.확장자'를 말한다. 이 경로는 디폴트로 정해진 경로이며 properties 또는 yml파일에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prefix와 suffix를 구성 및 설정하는 것을 viewresolver 구현이라고 한다.

    3) application.properties

    톰캣의 여러 파일들 중에서 server.xml의 역할을 하는 파일이다. 최근 properties파일을 yml파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추세인데 properties와 yml의 차이는 가독성에 있다. yml파일이 properties파일보다 가독성이 우월하며, 대신 띄어쓰기를 신경쓰지 않으면 오류가 난무하니 신경써서 작성해야한다.

  • src/test/java : Junit을 사용하는 등 테스트하기 위한 파일을 담는다.
  • Maven Dependencies :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을 담고있다.
  • target : 컴파일된 파일들을 담고있다.
  • pom.xml : 라이브러리를 다운받거나 삭제할 때 사용되는 파일이다. 

 

 

이제 생성된 프로젝트로 즐거운 스프링부트 작업하세요^^

반응형